취약점 진단

네트워크 취약점 진단

WEB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외부 인터페이스 인 네트워크의 취약점에 대해 조사하는 진단 서비스입니다.
네트워크 침입은 시스템 구성에 따라 기업 전체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취약점에 대한 대책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징
  • ・네트워크, 서버, OS가 대상
  • ・네트워크 장비, 보안장비의 취약점도 진단
  • ・최신보안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에서 동적 진단
  • ・발견된 중요한 취약점에 대해 빠른 문제해결 방안 제시
  • ・발견된 취약점 특정과 위험성을 가시화

진단대상

네트워크 상의 IP 주소를 가진 서버, OS 및 방화벽과 IDS 등의 보안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진단방법

외부 네트워크에 동적으로 취약점을 진단

진단방법

진단순서

진단대상의 네트워크 상의 서버, 네트워크 구조를 조사한 후 자세한 진단 계획을 수립

진단순서

※진단순서는, WEB 어플리케이션 취약점 진단과 동일합니다.

주요진단 항목

호스트 스캔 TCP/UDP/ICMP의 포트 스캔, 실행중인 서비스의 확인
네트워크 서비스의 취약점 DNS 관련 진단, 메일 서버 관련 진단, FTP 관련 진단, RPC 관련 진단, 파일공유 관련 진단, SNMP 관련 진단, SSH 관련 진단, 데이터베이스 서버 관련 진단 및 기타 서비스 관련 진단
Web 서버의 취약점 Web 서버의 취약점, Web Application 서버의 취약점, 허용된 HTTP 메소드
각종 OS의 취약점 Windows의 알려진 취약점, Solaris의 알려진 취약점, Linux의 알려진 취약점, 기타 각종 OS등의 알려진 취약점
악성 소프트웨어 백도어 조사, P2P 소프트웨어 조사
네트워크 기기의 취약점 각종 라우터의 알려진 취약점, Firewall의 알려진 취약점, 기타 네트워크 기기의 알려진 취약점, 설정 미스
기타 다른 호스트 전체 조사

※일부 항목은 자동화 도구로는 진단을 할 수 없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수동으로 진단될 수 있습니다.